3 분 소요

Makeovermonday에 올라온 11월 3주차 주제인 Aid Worker Security Incidents 에 관한 대시보드를 구축하였다. 데이터셋은 Makeovermonday 사이트에 올라온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기사(Aid Worker Security Incidents report)를 통해 배경 지식을 습득한 후 대시보드를 구축하였다.

1. 목표 및 니즈 파악

해당 대시보드는 총 18개의 국가 중에서 Internet 사용량을 알아볼 수 있으며 으로 자원봉사와 지원 활동에 종사하는 이들의 희생은 점점 더 큰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.
매년 특정 국가에서 지원활동종사자 희생자 수가 급증하며, 경각심을 고취하기 위해 시각적 데이터 분석 도구인 대시보드를 기획하고자 합니다.

해당 대시보드는 매년 지원활동종사자의 희생자 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희생자 수의 연도별 증가 및 감소 추세를 확인한다.
  • 특정 국가에서 발생하는 희생자들을 파악한다.
  •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표현하여 인사이트를 쉽게 전달한다.

2. 대시보드 기획

1. 지도 시각화:

전 세계 국가별 희생자 수를 지도에 표시하여 전체적인 희생자 지표를 윈의 크기로 볼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. 또한, 빨간색 원의 크기를 통해 희생자 수의 대략적인 규모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, 희생이 많이 발생한 국가가 지도에서 두드러지게 보이도록 설계한다.

2. 주요 피해 국가 순위:

총 희생자 수(죽음, 부상, 납치 포함)가 많았던 상위 3개 국가를 대시보드에 별도로 강조하였다. 이들 국가의 희생자 규모와 관련된 구체적인 데이터를 추가로 제공하였다.

3. 기타 국가 데이터 시각화:

나머지 국가들의 희생자 수는 막대 그래프로 표현하여 연도별 희생 규모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.

4. 연도별 필터 제공:

사용자는 연도별로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특정 시점에서 가장 피해가 많았던 국가와 피해량을 확인할 수 있다.

5. 디자인 테마:

대시보드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희생의 무게감을 전달하기 위해 어두운 배경을 사용한다. 빨간색과 흰색을 강조색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돋보이게 하였다.

3. 대시보드 구현

1. 지도

  • 원의 크기를 Total affect 값의 크기로 설정하여 피해인원을 보이고자 했으며, 지도는 어둡게 원의 색은 빨간색으로 설정하여 무거운 이미지를 보이도록 구상했다.
  • ountry 이름은 원이 밑에 레이블 표시가 되도록 설정하였고, 해당 지도는 대시보드의 배경처럼 깔리게 설정하였다.

2. 메인차트

  • 가장 많은 Total affect값을 가진 순서대로 순위를 매겨 1-3위 국가들의 구체적인 정보를 보여주고자 하였다.
  • 일단 1위에 해당하는 부분을 만들고 복제하여 2위 3위가 나오도록 rank 의 수를 조정하였다.

3. 국가 이름과 순위

  • 국가 이름을 제일 왼쪽에 두어 잘 보이도록 설계하였고, 그 옆에 순위를 보여주어 강조하였다.
  • ‘year>’ 해당 레이블 뒤에는 연도 필터에 따라 달라지며, 만약 필터에 전체 or 두 개이상의 연도가 클릭 되었을 때는 ‘Two or more years’ 라고 뜨고, 한 개의 연도만 클릭 되어있을 때는 해당 연도가 뜨도록 설정하였다.

4. KPI

  • Killed, Wounded, Kidnapped 의 값이 보이도록 설정하였다.
  • 3개의 지표를 합쳐서 Total affect 값을 만들었으며, 3개 지표 각각 의미가 크다고 판단하여 kPI로 강조하였다.

5. 성별

  • 성별의 따른 피해인원 수를 보여주기 위해 만들었다.

6. 자원봉사자 유형

  • 피해자들의 유형을 보여주는 것으로 대체로 위에 있는 원이 national, 아래 있는 원이 internationals이며 두 개의 위치는 피해인원 수에 따라 바뀐다
  • national과 internationals의 수를 보여주며, 두 유형의 비율 차이도 따로 레이블로 표시하였다.

7. 상위 4-15위 국가

  • 상위 4-15위 국가들의 연도별 피해인원수를 보여주며, 연도는 2016~2024년까지 보이도록 설정하였다.
  • 참고로 2024년은 8월까지의 데이터까지 반영되었다.

8. 필터 & 동작

  • 1,2,3위의 시트에 마우스오보하면 지도에 해당 국가가 하이라이트 되도록 설정하였다.
  • info시트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대시보드이 설명을 담아놓았다.

4. 결론

  • 연도별 희생자 분포: 특정 연도에 지원활동종사자의 희생자 수가 집중된 국가와 해당 피해 규모를 확인할 수 있다. 예를 들어, 2024년(8월까지 집계)은 2023년을 제외한 다른 연도와 유사한 희생 규모를 보인다.

  • 피해 추세 분석: 연도별 데이터를 통해 희생자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. 이는 자원봉사자들이 직면하는 위험이 점점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.

  • 주요 피해 국가 파악: 매년 희생자 수가 가장 많았던 국가 TOP3와 그 세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. 특히 특정 국가가 지속적으로 상위 3위 안에 포함된다면, 해당 국가의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강조된다.

이 대시보드는 단순히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것을 넘어, 자원봉사자와 지원활동종사자들이 직면한 위험을 보다 명확히 알리고, 국제사회와 관련 단체가 이를 경각심을 가지고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. 특히, 특정 국가에서 지속적으로 희생이 발생한다는 점은 해당 지역의 문제를 국제사회가 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. 희생이 늘어나는 현실은 자원봉사자들에게만 책임을 전가할 수 없는 문제다. 국제적 차원에서 더 강력한 보호 체계를 마련하고, 위험이 도사리는 지역에서의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대책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.

💬 분석 피드백

  • 성별 차틀르 굳이 막대로 표현한 것이 너무 평범해보이며, 파이나 다른 차트로 나타내면 좋을 것으로 판단됨
  • 막대그래프를 2016~2024년으로 고정시킨 것이 별로이며, 필터를 움직이면 연도도 최근 10년으로 바뀌게 설정하면 좋을 듯
  • 그리고 상위 4-15위까지의 국가라고 따로 표기해야 이해하기 편할듯